-
[학과뉴스] BK21 차세대 에너지 통합형 인력양성 사업단 우수성과 발표회2022-02-24 l 조회수 3282022년 2월 18일 오전 10시, 38동 락구정 대회의실에서 BK21 차세대 에너지 통합형 인력양성 사업단 우수성과 발표회를 개최하였습니다. BK참여 교수님 및 연구원, 대학원생들이 참석하여 우수연구실 연구(송재준, 정경재 교수), 우수신진연구자 연구(Dr. Jide Ogunbo), 우수참여대학원생(유화정, 서재민, 정의찬)에 대한 발표 및 시상식을 가졌습니다.[언론] 전기료 부담 가중시킬 ‘신재생 대못’2022-01-28 l 조회수 262재생에너지 사업자에게 보조금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가 있다. 이 제도의 근거가 되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시행령’ 개정안이 입법예고 단계를 지나 조만간 국무회의에 상정된다. 이번 개정은 주요 발전회사가 공급해야 할 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 상한치를 종전 10%에서 25%로 대폭 높이고 단계적으로 늘려가는 경로를 새로 정하기 위한 것이다. 급증하는 재생에너지 의무공급비율은 큰 전기요금 인상요인으로 작용할 것이 분명하다. 대형 발전회사는 재생에너지 사업자와의 거래...[언론] [시론] 새 정부는 ‘脫’탈원전으로 가야 한다2022-01-28 l 조회수 272지난 20일 서울시의 기후변화 대응 종합 계획 발표가 있었다. 2019년 4600만톤 수준인 서울시 온실가스 배출량을 2026년까지 3500만톤으로 약 24% 감축하려는 야심 찬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이 목표가 매우 도전적이지만 노후 건물 에너지 효율화, 전기차 보급률 10% 달성, 고효 율 태양광 확대 등의 사업에 10조원을 투입해 달성할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했다. 그러면서 오 시장은 무탄소 전력 생산 필요성에 대해 매우 의미심장한 말을 했다. 현 정부 5년 동안 고통스 러운 실험으로 원자력발전이 기후변화에 ...[언론] KINGS·NIFTEP, 기술개발 상호협력 MOU2022-01-28 l 조회수 335[투데이에너지 김병욱 기자]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총장 유기풍, 이하 KINGS)와 서울대학교 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소장 황용석, 이하 NIFTEP)은 27일 KINGS 대회의실에서 교육 연구협력 및 인력양성 프로그램 공동개발, 시설 및 연구 기자재의 공동 활용 등을 골자로 하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원자력미래기술연구와 원자력 정책 연구의 국내 씽크탱크로서 구심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NIFTEP과 국내외 에너지산업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KINGS가 상호 협력해 국내 및 해외 원자력 ...[학과뉴스] 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 핵 비확산 콜로퀴엄2021-09-16 l 조회수 393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에서 경남대학교 이병철교수님을 모시고 "핵무기 금지조약과 핵비확산 체제"라는 제목으로 콜로퀴엄을 개최합니다. 이 강연회는 온라인 줌미팅으로 실시됩니다. 관심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제목: 핵무기 금지조약과 핵비확산 체제 발표: 이병철 교수(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주최: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 일시: 2021년 9월 24일 15:00~17:00 참석: Zo...[언론] [시론] 편파 시비 탄소중립시민회의 중단해야2021-09-15 l 조회수 349탄소중립위원회(탄중위)가 최근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3개 안을 발표했다. 저석탄안, 무석탄안, 넷제로(Net zero) 안이다. 세 안 모두 현실적인 제약과 비용을 무시한 채 작성돼 실현 가능성이 없어 보인다. 이 시나리오의 불합리성은 발표된 몇몇 수치만 분석해봐도 금세 알 수 있지만, 세부 근거를 보면 그 무모함과 불합리가 더 드러날 것이다. 그래서 그런지 탄중위는 시나리오 산출 근거를 공개하지 않다가 최근에야 탄중위 홈페이지에 껍데기만 올렸다. 그런데도 탄중위는 탄소 중립시민회의 공론화라는 ...[학과뉴스] 김상균 박사, 아시아태평양물리학협회 30세 이하 신진연구자상 수상2021-09-02 l 조회수 739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한 김상균 박사가 아시아 태평양 물리학협회 (Association of Asia Pacific Physical Societies) 플라즈마 물리분과 (Division of Plasma Physics)에서 선정하는 30세 이하 신진연구자상을 받았다. 아시아태평양 물리학협회의 신진연구자상은 플라즈마 물리의 여러 세부 연구 분야에 크게 이바지한 30세 이하의 젊은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아시아태평양 물리학협회는 김상균 박사가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지도하에 진행...[학과뉴스] 유민구 박사, 아시아태평양물리학협회 40세 이하 신진연구자상 수상2021-09-02 l 조회수 673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를 졸업한 유민구 박사가 아시아태평양물리학협회 (Association of Asia Pacific Physical Societies) 플라즈마 물리분과 (Division of Plasma Physics)에서 선정하는 40세 이하 신진연구자상을 수상하였다. 아시아태평양물리학협회의 신진연구자상은 플라즈마물리의 세부 연구 분야에 큰 기여를 한 40세 이하의 젊은 연구자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아시아태평양물리학협회는 유민구 박사가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나용수 교수 지도 아래에...[언론] “기후변화 대처에 원자력이 필수입니다”2021-09-02 l 조회수 5422017년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은 문재인 정부 탈원전 정책의 신호탄이었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에 참여한 121개 국가 대부분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이루겠다고 선언했다. 탄소 중립은 배출되는 탄소와 흡수되는 탄소의 양을 같게 만들어 탄소 순배출을 0으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역시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을 현재의 10배까지 늘릴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정책의 현실성에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신재생 에너지 활용에 필요한 단가가...[언론] 주한규 “신한울 3·4호기라도 재개해야 原電생태계 유지… 안 그러면 진짜 망한다”2021-08-18 l 조회수 314■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신규원전 안짓는 게 최대 문제… 산업 붕괴·한전 적자 심화 3·4호기 건설‘징검다리’삼아야 후속원전 수출도 가능해져 노후원전 없앤 만큼 신규원전 가동하는 ‘원인 원아웃’ 필요 ‘기후에너지부’ 신설 대선 공약?… 전문가 의견이나 들어라 인터뷰 = 박수진 경제부 차장 문재인 정부가 2017년 6월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을 시작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