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핵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핵공학과
  • 학과소개
  • 입학안내
  • 교육
  • 연구활동
  • 학과소식
  • 후원안내
EN
전공소개
인사말
학과역사
구성원
  • 전임교수
  • 비전임교수
  • 명예교수
  • 교직원
졸업 후 진로
오시는 길
학부입학
대학원입학
학부
  • 교과과정
  • 졸업규정
  • 학생회/학부동아리
  • 학부생연구참여
    프로그램
대학원
  • 교과과정
  • 졸업규정
융합전공
  • 지속가능고준위
    방폐물관리
장학금
연구실
연구센터 및 그룹
대학원 연구 소개
공지사항
학과뉴스
행사/세미나
학과뉴스
  1. Home
  2. 학과소식
  3. 학과뉴스
  • 학과소식
    • 학과소개
    • 입학안내
    • 교육
    • 연구활동
    • 학과소식
    • 후원안내
  • 학과뉴스
    • 공지사항
    • 학과뉴스
    • 행사/세미나
  • [학과뉴스] 2025년 원자핵공학과 홈커밍데이 개최
    2025-10-01 l 조회수 84
    2025년 9월 27일, 2025학년도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홈커밍데이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홈커밍데이를 통하여 동문들과 학창 시절의 정든 추억을 다시금 되새기면서 원자핵공학의 미래를 밝히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학과뉴스] 서울공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김진우 박사·구자현 박사과정생, 제21차 원자로 열수력 국제학술대회(NURETH-21) 최우수논문상 수상
    2025-09-25 l 조회수 106
    서울공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김진우 박사·구자현 박사과정생, 제21차 원자로 열수력 국제학술대회(NURETH-21) 최우수논문상 수상 - 다물리 연계 해석을 통한 원자로 안전성 향상과 규제 평가 기여 - 해양 환경에서의 임계열유속 실험을 통한 원자로 안전 평가 기여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김진우 박사(왼쪽)가 네덜란드 NRG PALLAS 연구·혁신 부문 책임자 페리 로엘로프스(Ferry Roelofs, 오른쪽)로부터 2025년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하는 모습 ▲ 서울대학교 공과...
  • [학과뉴스] 양원석 박사, INL ‘Glenn T. Seaborg Distinguished Postdoctoral Associate’ 선발
    2025-09-24 l 조회수 113
    서울대 공대 원자핵공학과 양원석 박사, 美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 ‘Glenn T. Seaborg Distinguished Postdoctoral Associate’ 선발 - 차세대 원자로 핵심인 연료염 악티나이드 실시간 센서 개발… 비확산·안전·자율운전 고도화 목표 ▲ 양원석 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 양원석 박사가 미국 에너지부 산하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의 ‘Glenn T. Sea...
  • [학과뉴스] 2025학년도 원자핵공학과 현장견학 행사
    2025-09-08 l 조회수 229
    2025년 9월 4일~6일, 2박 3일 일정으로 2025학년도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현장견학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이번 현장견학은 대전과 경주에 위치한 원자핵공학과 관련기관 견학을 통하여 원자핵공학 관련 연구의 여러 방면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현장 견학 일정> 1일차 (대전)  - 13:00 ~ 15:00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2일차 (경주)  - 09:30 ~ 11:30 한국원자력환경공단   - 13:00 ~ 16:00 한국수력원자력 월성본부  - 16...
  • [언론] 원전 수출 산업화를 위한 과제[기고/심형진]
    2025-09-03 l 조회수 162
    원전 수출 산업화를 위한 과제[기고/심형진] 동아일보 입력 2025-09-03 03:002025년 9월 3일 03시 00분 심형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전력이 미국 웨스팅하우스사와 체결한 지식재산권 합의 내용 일부가 최근 언론에 알려지며 논란이 되고 있다. 향후 50년간 원전 한 기당 기술 사용료 2400억 원 지급, 9000억 원 규모의 기자재 구입, 북미와 유럽 시장 독자 수출 제한 등의 내용이 알려지며, 우리가 웨스팅하우스에 너무 많이 양보한 게 아닌가 하는 우려다...
  • [학과뉴스] [한국원자력학회] 2025년도 제1회「청년이여 마음껏 활동하라!」최우수상 수상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5-08-29 l 조회수 279
    [한국원자력학회] 제1차 "마음껏 활동하라" 수상 개요 • 팀명: Nu-Beacon • 수상: 최우수 • 주제: 해외 차세대 원자력 기술 및 SMR 정보 제공 • 활동기간: 2025년 7월 14일 ~ 8월 14일 (5주간) 팀원 구성 (원자핵공학과) • 팀장 김준원 • 팀원 박태훈, 권필성, 이진원 프로젝트 핵심 내용 배경 및 필요성 최근 전 세계적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으나, 국내에는 해 외 최신 기술 동향에 대한 정보 접근성이 제한적이었습니다. 특히 언어적 장벽과 전문성 격차로 인...
  • [언론] 위기의 철강 산업과 원자력의 시너지
    2025-07-24 l 조회수 255
    초세계화(hyper-globalization)의 질서가 약화된 지금, 각국은 자국이 가진 '카드'를 고민해야 하는 기술지정학(techno-geopolitics)의 격랑을 맞고 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종전 협상 중 우크라이나는 더 이상 카드가 없다며 젤렌스키 대통령을 압박하던 모습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도 우리가 가진 경제 외교적 전략 자산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전략 자산으로서의 의미를 갖는 제조업을 되살리려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조선, 방산, 원전 등 우리나라의 강력한 제조업 경쟁력은 협상의 지렛대로 작용...
  • [언론] 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장 "2030년대 인공태양 상용화 기대"
    2025-07-23 l 조회수 466
    나용수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장 "2030년대에는 인공태양의 상용화가 시작될 것으로 봅니다. 이제 인공태양 개발은 국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바뀌고 있습니다. 핵융합의 상용화를 위해 이제 누가 어떤 기술을 가지고 있느냐가 에너지 시장 판도를 바꿀 것입니다.” 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장은 지난 11일 매일경제TV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며 핵융합 기술 상용화 시대의 도래와 기술 주권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나 학과장은 "그동안 우리나라는 인공태양, 즉 핵융합 장치 자체를 만드는 데에 집중해...
  • [학과뉴스] 제40회 원자력관리자를 위한 하계강좌 개최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5-07-17 l 조회수 211
    2025년 7월 9일(목) ~ 11일(토), 3일간 39동 B103BK다목적회의실에서 다음와 같이 제 40회 원자력관리자를 위한 하계강좌 행사를 개최하였습니다. 1. 행사명: 제40회 원자력관리자를 위한 하계강좌 2. 주 제: 미래를 밝히는 원자력과 첨단 산업 3. 일 정: 2025. 7.9.(수) ~ 7.11.(토), 3일간 4. 장 소: 서울대학교 39동 B103BK다목적회의실 5. ...
  • [학과뉴스] [새 정부에 바란다] 나용수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장 "전력 폭증 AI 시대 신재생만으론 한계 뚜렷, 원자력은 선택 아닌 필수"
    2025-06-16 l 조회수 358
    12일 대전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서울대 나용수 원자핵공학과장이 본지와 인터뷰하고 있다./고운호 기자 “소형 모듈 원자로(SMR)와 핵융합 등 원전 연구 지원을 중단한다면 우리의 에너지 안보와 산업 경쟁력을 제대로 지킬 수 없습니다. 인공지능(AI) 시대 폭증할 전력 수요를 감당하려면 원자력 에너지는 필수입니다. ”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지난달 “이제는 원자력 시대”라고 선언하고 원전을 향후 25년간 4배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원전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 4개에도 서명하고, 원전 건립에 속...
  •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다음
  • ← 이전
  • 1/18
  • 다음 →
  • 학과소개
    • · 전공소개
    • · 인사말
    • · 학과역사
    • · 구성원
      • 전임교수
      • 비전임교수
      • 명예교수
      • 교직원
    • · 졸업 후 진로
    • · 오시는 길
  • 입학안내
    • · 학부입학
    • · 대학원입학
  • 교육
    • · 학부
      • 교과과정
      • 졸업규정
      • 학생회/학부동아리
      • 학부생연구참여
        프로그램
    • · 대학원
      • 교과과정
      • 졸업규정
    • · 융합전공
      • 지속가능고준위
        방폐물관리
    • · 장학금
  • 연구활동
    • · 연구실
    • · 연구센터 및 그룹
    • · 대학원 연구 소개
  • 학과소식
    • · 공지사항
    • · 학과뉴스
    • · 행사/세미나
  • 후원안내
EN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개인정보처리방침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핵공학과 36동 308-1호
TEL 02-880-7201 / FAX 02-889-2688
COPYRIGHTS © Nuclear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