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핵공학과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핵공학과
  • 학과소개
  • 입학안내
  • 교육
  • 연구활동
  • 학과소식
  • 후원안내
EN
전공소개
인사말
학과역사
구성원
  • 전임교수
  • 비전임교수
  • 명예교수
  • 교직원
졸업 후 진로
오시는 길
학부입학
대학원입학
학부
  • 교과과정
  • 졸업규정
  • 학생회/학부동아리
  • 학부생연구참여
    프로그램
대학원
  • 교과과정
  • 졸업규정
융합전공
  • 지속가능고준위
    방폐물관리
장학금
연구실
연구센터 및 그룹
대학원 연구 소개
공지사항
학과뉴스
행사/세미나
학과뉴스
  1. Home
  2. 학과소식
  3. 학과뉴스
  • 학과소식
    • 학과소개
    • 입학안내
    • 교육
    • 연구활동
    • 학과소식
    • 후원안내
  • 학과뉴스
    • 공지사항
    • 학과뉴스
    • 행사/세미나
  • [학과뉴스] JNST Most Citd Article Award 수상 소식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4-11 l 조회수 470
    저희 원자핵공학과의 주한규 교수님께서 일본원자력학회지 (SCI) - Journal of Nuclear Science and Technology에서 최다 피인용상을 수상하셨습니다. ​
  • [언론] 탈원전 공백 만회와 원전 최강국의 길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3-29 l 조회수 285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후보 시절에 ‘탈원전 백지화, 원전(原電) 최강국 건설’이란, 짧지만 강력한 메시지로 원전 육성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천명했다. 이에 따라 새 정부는 탈원전 종식에 따른 원전 정상화 조치를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 그래야만 우리나라가 지난 5년 동안 몰락한 원자력 산업을 회생시켜 원전 최강국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 원전 정상화의 첫 조치는 신한울 3·4호기의 조속한 건설 재개가 돼야 한다. 여기에는 현실적인 장애가 하나 있다. 5년 기한인 환경영향평가 유효기...
  • [언론] [기고] 탄소중립을 위한 핵심 C-테크, 원자력 발전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3-29 l 조회수 337
    전 지구적 기후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세계 거의 모든 나라가 2050년 혹은 206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실현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발전 부문뿐만 아니라 비전력 에너지 부문에서도 탄소를 줄여야 한다. 일각에서는 재생에너지로 무탄소 전력을 대량 생산해 기존 소비 전력은 물론 비전력 에너지까지 대체하는 방식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무탄소 에너지를 전부 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 즉 RE100은 실제론 불가능하다. 재생에너지의 태생적 약점인 변동성 극복을 위해서는 막대...
  • [언론] '판도라' 본 文정부 탈원전? 그 영화에 난 원자력전공 택했다 [곽승민의 일리(1·2)있는 논쟁]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3-24 l 조회수 772
    '판도라'. 이 영화 한 편이 시작이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이 아니라 저의 전공 선택 얘기입니다. 2016년, 그러니까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2학년 때 학교에서 다 같이 ‘판도라’를 보러 갔습니다. 격납 용기가 폭발하고 배관이 파괴돼 노심이 용융되는 등의 사고를 그린 그 영화 말입니다. 원자력발전소의 안전 시스템이 한순간 무너지는 영화 속 모습을 보고는 의구심 반, 불안감 반이 뒤섞인 채 원자력에 대해 혼자 공부했습니다. 제가 찾은 정보는 영화와는 완전히 달랐습니다...
  • [언론] “5년 고난 겪은 원자력, 이젠 미래 기술로 발전시킬 것”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3-23 l 조회수 1097
    “지난 5년은 우리에겐 위기였지만 또 기회였습니다”. 지난 17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공과대학에서 만난 김곤호 서울대 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 소장(원자핵공학과 교수)은 문재인 정부의 지난 5년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2017년 취임 이후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을 중단하는 등 ‘탈원전’ 정책을 추진해왔다. 서울대 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이하 연구소)는 탈원전 논란이 한창 진행 중이던 2020년 5월 문을 열었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구성원들...
  • [언론] [기고] 탈원전의 말장난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3-22 l 조회수 665
    날짜까지 기억이 난다. 2017년 6월 19일, 문재인 대통령은 고리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에서 “원전 정책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해 원전 중심의 발전 정책을 폐기하고 탈핵 시대로 가겠다”며 탈원전 정책을 선포했다. 이때 탈원전 정책이란 “핵발전소를 긴 세월에 걸쳐 서서히 줄여나가는 것”이라고 정의를 밝히고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원전 계속운전 금지, 월성 1호기 조기 폐쇄라는 구체적인 내용도 제시했다. 이후 조직된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는 약 3개월의 활동...
  • [언론] 새 정부, 원자력 정책부터 바로잡으라[동아시론/심형진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3-22 l 조회수 408
    원자력계에는 참으로 가혹한 5년이었다. 문재인 정부는 2017년, 출범 한 달 후 우리나라 최초 원전인 고리 1호기의 퇴역식에서 원자력 종사자들을 앞에 두고 탈원전을 선포하는 비정함을 보이며 독선의 서막을 올렸다. 이어진 신고리 5, 6호기 공론화위원회는 공론조사 주제에서 벗어난 원전 확대·축소를 묻는 꼼수로, 시민참여단의 59.5%가 건설 재개를 선택했음에도 원전 축소를 권고하며 탈원전 정책을 지원했다.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고 했던가. 전국 13개 대학의 원자력 전공생들은 1년 가까이 주말...
  • [언론] 원자핵공학과 학생들 “原電 주력전원은 말장난… 학계 이미 큰 상처”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3-21 l 조회수 669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대학원생 차민수(25), 구자현(23)씨와 학부생 곽승민(23)씨는 현 정부 출범 전후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에 입학, 2018년 ‘탈원전 반대 운동’이 벌어졌을 때 전국 13개 대학 학생들로 구성된 전국원자력대학생연합에서 적극 활동했던 학생들이다. 차씨는 이 모임 대표를 맡기도 했다. 이들은 “원자력이 향후 60여 년간 주력 기저 전원(電源)”이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난달 25일 발언을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지난 2일 서울대 공대에서 만난 이들은 “문 대통령 발언은 ‘60년 후 원전은 끝난다’는 ...
  • [언론] 주한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재생E 단점보완・탄소중립 위해 경제성 전원 원전역할 중요"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3-03 l 조회수 582
    [파워인터뷰]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지난해 6월 대권 출마를 공식 선언한 이후 제일 먼저 만난 사람이 있다. 바로 주한규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교수다. 우리나라에서 지난 5년만큼 원자력발전이 국민적 관심이 높았던 적은 없었다. 문재인 정부가 강행했던 탈원전 정책이 원자력에 대해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됐다. 특히 윤 후보는 월성원전 1호기 수사가 “정치에 참여하게 된 직접적 계기”라고 밝힐 정도로 원전 및 에너지 정책에 상당한 관심을 보였다. 주 교수는 “윤 전 총장이 자신의 출마선언문에서 탈원전 정책에 대해 ...
  • [학과뉴스] 2022학년도 원자핵공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개최 안내 첨부파일이 있는 게시물
    2022-02-24 l 조회수 340
    2022년 2월 28일 오후 2시, 32동 106호에서 원자핵공학과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행사를 개최합니다. 이 행사에서는 2022년 원자핵공학과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원자핵공학과의 교육과정과 연구 등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질 예정입니다. 행사는 심형진 학과장님 인사말씀을 시작으로 각 연구실별 주요 연구 소개, 교과과정, 학생회 프로그램, 실험실 탐방 등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첨부 신입생 OT 개최(안) 1부. 끝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개최...
  •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다음
  • ← 이전
  • 10/18
  • 다음 →
  • 학과소개
    • · 전공소개
    • · 인사말
    • · 학과역사
    • · 구성원
      • 전임교수
      • 비전임교수
      • 명예교수
      • 교직원
    • · 졸업 후 진로
    • · 오시는 길
  • 입학안내
    • · 학부입학
    • · 대학원입학
  • 교육
    • · 학부
      • 교과과정
      • 졸업규정
      • 학생회/학부동아리
      • 학부생연구참여
        프로그램
    • · 대학원
      • 교과과정
      • 졸업규정
    • · 융합전공
      • 지속가능고준위
        방폐물관리
    • · 장학금
  • 연구활동
    • · 연구실
    • · 연구센터 및 그룹
    • · 대학원 연구 소개
  • 학과소식
    • · 공지사항
    • · 학과뉴스
    • · 행사/세미나
  • 후원안내
EN
서울대학교 원자핵공학과
개인정보처리방침
08826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1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원자핵공학과 36동 308-1호
TEL 02-880-7201 / FAX 02-889-2688
COPYRIGHTS © Nuclear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